opencv 2.4.11 64bit 설치 + visual studio 2013 설정
환경 : windows 7 64bit, opencv 2.4.11 64bit, visual studio 2013
-- http://docs.opencv.org/doc/tutorials/introduction/display_image/display_image.html#display-image
참고 동영상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vwhTKsvHwfQ
1. opencv 다운받아 설치하기
- 다운로드 링크 : http://sourceforge.net/projects/opencvlibrary/files/opencv-win/
2. opencv 설치하기.
-- 다운받은 opencv-2.4.11.exe 를 실행하여, d:\ 에 설치함.
-- d: 드라이브에 opencv 폴더 생성후 설치된 모습.
3. path 설정하기
-- DLL 사용시에 필요하다.
-- static library 사용시에는 필요없다.
-- opencv 설치된 폴더의 build 폴더에서, 64 bit 실행화일 만들기위해 x64 폴더 선택
---> visual studio 2013 은 vc12 폴더 선택하고,
---> DLL 이 설치되어있는 bin 폴더를 선택하여 path 설정한다.
----- 이상으로 path 설정까지 완료함!!!!
4. visual studio 2013 시작 설정하기
-- console application 으로 시작하자!
5 . Property Manager 창 열기
-- VIEW 메뉴에 'Property Manager' 보이거나, Other Windows 의 submenu 에서 'Property Manager' 보이면 선택한다.
-- 'Property Manager' 창 열어보면, Debug, Release 모두 Win32 만 보인다.
--> 64 bit 컴파일 위해, 'configuration Manager' 선택한다!
-- Active solution platform 항목 선택하여, <NEW...> 선택하여, x64 선택하면 ok!
--- 이제는 Debug, Release 모두 x64 추가 됨.
-- Property Sheet 만들기.
-- cv_x64_debug.props 파일을 만든다. (이름은 맘대로 하면됨...)
6. 속성 설정하기.
-- Debug | x64 폴더에 cv_x64_debug.props 파일이 새로 생성된게 보인다.
-- Debug, x64 속성 설정을 위해 cv_x64_debug.props 파일을 더블클릭하면, 속성설정 창 나온다.
--> C/C++ --> Additional Include Directories (추가 포함 디렉토리) --> D:\opencv\build\include 입력한다.
---> D:\opencv\build\include\opencv 와 D:\opencv\build\include\opencv2 는 따로 추가 하지 않고,
나중에 C++ 소스에 #include 표시해주면 된다.
-- Linker --> Additional Library Directories (추가 라이브러리 디렉토리) --> D:\opencv\build\x64\vc12\lib 입력한다.
-- Linker --> Input (입력) --> Additional Dependencies (추가 종속성) --> 아래의 lib 파일들을 입력한다.
opencv_calib3d2411d.lib
opencv_contrib2411d.lib
opencv_core2411d.lib
opencv_features2d2411d.lib
opencv_flann2411d.lib
opencv_gpu2411d.lib
opencv_highgui2411d.lib
opencv_imgproc2411d.lib
opencv_legacy2411d.lib
opencv_ml2411d.lib
opencv_nonfree2411d.lib
opencv_objdetect2411d.lib
opencv_ocl2411d.lib
opencv_photo2411d.lib
opencv_stitching2411d.lib
opencv_superres2411d.lib
opencv_ts2411d.lib
opencv_video2411d.lib
opencv_videostab2411d.lib
--- 속성 파일 작성 완료함.
; 이제부터 opencv 64bit Debug 속성은 cv_x64_debug.props 파일 불러오면 끝....
*** Release 모드도 해보자!!!!
; lib 파일만 다르다.
opencv_calib3d2411.lib
opencv_contrib2411.lib
opencv_core2411.lib
opencv_features2d2411.lib
opencv_flann2411.lib
opencv_gpu2411.lib
opencv_highgui2411.lib
opencv_imgproc2411.lib
opencv_legacy2411.lib
opencv_ml2411.lib
opencv_nonfree2411.lib
opencv_objdetect2411.lib
opencv_ocl2411.lib
opencv_photo2411.lib
opencv_stitching2411.lib
opencv_superres2411.lib
opencv_ts2411.lib
opencv_video2411.lib
opencv_videostab2411.lib
*** opencv 예제
<< opecv path 설정하여, project property sheet 파일 이식성 좋게 하기. >>
opencv path 를 절대경로로 해두니... 데스크탑에서 노트북으로 프로그램밍 환경 옮길때.. 모두 다시 설정해야함...
--> 이전에 만들어둔 cv_x64_debug.props 파일 복사해서 그대로 사용못하고 노트북 opencv path 에 따라 다시수정해야하는 불편 생김.
< 해결책 >
1. 시스템 변수에 opencv_dir (이름은 자기맘)이라는 이름의 나만의 시스템변수 설정하자.
2. 이전의 Path에 설정한 opencv 절대경로를 opencv_dir 을 이용하여 상대경로로 바꾼다.
--- %opencv_dir%\x64\vc12\bin; 으로 입력하자.
3. 'Property Manager' 창에서, 위에서 만든 cv_x64_debug.props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모두 상대경로로 바꾼다.
4. 이제는 모든 준비끝!!!!
--- opencv 프로그래밍 환경이 바뀌어도, 시스템변수에 opencv_dir 만 설정해 놓으면, cv_x64_debug.props 파일을 복사해서 사용할 수 있다..
-- property manager 창에서 'Add Existing Property Sheet...' 메뉴 선택하여 cv_x64_debug.props 파일 추가하면 됨.